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사카부 제10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오사카부 제10구
大阪府第10区
||
파일:shuinsen_Osaka10.svg
선거인 수320,990명 (2021)
상위 도도부현오사카부
하위 행정구역타카츠키시, 미시마군
국회의원

이케시타 다쿠




1. 개요[편집]


오사카부교토부 인접 지역 중 JR 교토선, 한큐 교토 본선 연선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유신회 소속 이케시타 다쿠.


2. 상세[편집]


요약하자면, 오사카에서 진보 성향이 가장 강한 선거구 중 한 곳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역구에서 자민당 후보가 당선된 적은 정식 선거 기준으로는 딱 1번, 재보궐 선거까지 포함해도 2번 밖에 없으며, 일본 유신회 당선 사례까지 포함해도 3번 밖에 없다.[1] 그리고 이곳은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인 쓰지모토 기요미가 과거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적이 있는 곳이다. 쓰지모토의 경우, 사회민주당으로 정계입문을 했지만 2010년에 사민당이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때문에 집권 민주당과의 연정에서 이탈하자 이에 반발해 사민당을 탈당했고, 1년 후 민주당에 입당했다.

자민당등 보수 세력이 약세인 이유는 이 선거구가 오사카와 교토 사이에 끼어있는 지리적 특성을 띄기에 오사카와 교토 두 지역의 베드 타운이 되어버린 영향이 크다. 그러다보니 무당층의 인구 비중의 다른 간사이지역 선거구보다 높다. 또한 타카츠키역셋츠톤다역을 중심으로 맨션들이 지어져 지속적으로 젊은 세대가 유입되고 있는 영향도 있다.

하지만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쓰지모토 기요미도 유신회 돌풍을 이겨내지 못하고 낙선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이시가키 가즈오53,623표1위


31.3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류노스케45,655표2위


26.71%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히다 미요코33,802표3위


19.7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가오 가즈노리29,022표4위


16.98%낙선
오자와 후쿠코6,368표5위

무소속

3.72%낙선
파일:덕주회.png오노다 다카시2,484표6위

자유연합

1.45%낙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쓰지모토 기요미55,839표1위


29.70%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이시가키 가즈오55,108표2위


29.31%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히다 미요코52,598표3위
27.9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미네 마나부21,957표4위
11.68%낙선
타카야 히토시2,489표5위
1.32%낙선
유효표 수157,556투표율
유권자 수

4.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타43,252표1위
34.23%당선
요시다 야스토36,328표2위
28.7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노 에츠코23,795표3위
18.83%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에무라 토시오15,876표4위
12.57%낙선
小泉の会키타오카 다카히로2,722표5위
2.15%낙선
미즈타니 요이치2,453표6위
1.94%낙선
타카야 히토시1,516표7위
1.20%낙선
니시무라 토시후미404표8위
0.32%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41.45%
선거인 수311,558인

사민당 쓰지모토 기요미 의원이 비서 급여 유용 혐의로 사직하자 8명의 후보자가 2002년 10월에 치러지는 보궐선거에 출마하게 되었다. 당선자는 산케이 신문의 기자였던 마쓰나미 겐타이다.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히다 미요코83,077표1위
47.1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타68,646표2위
38.94%낙선[2]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노 에츠코22,976표3위
13.03%낙선
스노하라 마모루1,600표4위
0.91%낙선
유효표 수207,669표투표율
57.99%
선거인 수311,608인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타83,607표1위
38.12%당선[3]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쓰지모토 기요미68,614표2위
31.53%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히다 미요코52,703표3위
24.2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누마 카즈히토12,703표4위
5.84%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70.54%
선거인 수313,035인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쓰지모토 기요미109,693표1위
50.53%당선[4]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쓰나미 겐타85,106표2위
39.20%비례당선[5]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누마 카즈히토18,425표3위
8.4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츠츠이 히로시3,863표4위
1.78%낙선
유효표 수157,556투표율
70.56%
유권자 수315,502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마쓰나미 겐타71,117표1위
36.19%당선[6]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쓰지모토 기요미65,411표2위
33.29%비례당선[7]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쿠마 카즈히데45,261표3위
23.03%낙선[8]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누마 카즈히토14,706표4위
7.48%낙선
유효표 수239,732표투표율
63.77%
선거인 수315,392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쓰지모토 기요미61,725표1위
34.35%당선[9]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쿠마 카즈히데53,160표2위
29.58%비례당선[10]
파일:유신당 로고.png마쓰나미 겐타50,516표3위
28.1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누마 카즈히토14,318표4위
7.97%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58.06%
선거인 수314,632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쓰지모토 기요미
(辻元清美)
75,788
(42.8%)
1위당선
오쿠마 가즈히데
(大隈和英)
56,483
(31.9%)
2위낙선
당선(석패율제)
추천
마쓰나미 겐타
(松浪健太)
44,938
(25.4%)
3위낙선
유효표 수177,209투표율 56.08%
유권자 수320,660

현역 쓰지모토 기요미 의원은 입헌민주당에 합류 후 예상대로 공천을 받았으며, 직전 선거까지 이 지역구에 후보를 냈던 일본 공산당이 이번에는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쓰지모토로 야권 단일화가 되었다. 반면 보수계에서는 자민당 오쿠마 의원과 일본 유신회 마쓰나미 의원이 그대로 출마했다.

당선 확정 후 연설하는 쓰지모토 기요미

선거 결과 쓰지모토 기요미 의원이 당선되면서 지역구를 수성하는데 성공했다. 본인의 평소 지역 기반과 공산당 후보의 불출마에 따른 야권 단일화가 승리의 큰 역할을 했다. 한편 마쓰나미 겐타는 석패율 구제도 못 받고 낙선했으며, 이후 마쓰나미는 체급을 낮춰 2019년 오사카부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고 2019년도 통일지방선거 오사카부의회 의원선거 결과 2023년 타카츠키시장 선거에 출마했지만 2023년 통일지방선거 관련 보도 영상1 2023년 통일지방선거 관련 보도 영상2 주요 4당의 추천을 받고 현직인 하마다 다켄 후보에게 39% 차이로 패배하였다. 2023년도 오사카부 타카츠키시장선거 개표 결과 2023년 마쓰나미 겐타 낙선 소감 영상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오사카부 제10구
타카츠키시, 미시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이케시타 다쿠
(池下卓)
80,9321위
40.32%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쓰지모토 기요미
(辻元清美)
66,9432위
33.35%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구마 가즈히데
(大隈和英)
52,8433위
26.33%낙선
유효표 수200,718표투표율
63.32%
선거인 수320,990인

선거 당시의 오사카 10구 관련 뉴스 영상

49회 중의원 오사카부 10구 개표 결과
정당일본 유신회입헌민주당자유민주당격차투표율
후보이케시타 다쿠쓰지모토 기요미오구마 가즈히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0,932
(40.32%)
66,943
(33.35%)
52,843
(26.33%)
+ 4,878
(△44.58)
200,718
(63.32%)
타카츠키시40.74%32.83%26.43%△7.9162.89%
시마모토초35.95%38.76%25.29%▽2.8168.15%

비례대표 결과
정당
득표수
(득표율)
4,240.211
(2.12%)
13,142
(6.58%)
42,157
(21.11%)
4,575
(2.29%)
82,310
(41.21%)
2,625
(1.31%)
28,114.787
(14.08%)
20,395
(10.21%)
2,153
(1.08%)
지역별 결과
타카츠키시2.09%6.40%20.93%2.26%41.49%1.30%13.95%10.48%1.07%
시마모토초2.46%8.47%22.89%2.64% 38.19%1.47%15.33%7.34%1.21%

지역구 현역 입헌민주당 쓰지모토 기요미 의원과 자민당 오쿠마 가즈히데 의원이 재대결을 벌인다.

한편 지난 선거에서 3위에 그쳤던 일본 유신회는 지난 총선에서 패했던 마쓰나미 겐타 전 의원이 오사카부의회 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지역구 지부장직을 사퇴한지라 이번 총선에는 역시 같은 오사카부의회 의원인 이케시타 다쿠 후보를 공천한다. 출마하면서 부의회 의원직을 사퇴했다.

개표 결과, 일본 유신회의 이케시타 다쿠 후보가 40% 득표율로 입헌민주당의 쓰지모토 기요미 부대표를 누르는 쾌거를 이뤘다. 쓰지모토 부대표는 긴키 지역에서의 입헌민주당 부진 때문에 석패율제를 통한 부활도 하지 못하고 완전 낙선이 확정되었다. 자민당의 오구마 전 의원 역시 3위에 그치면서 석패율제 부활을 얻어내지 못하고 완전 낙선했다.

당초 쓰지모토 부대표의 압도적인 우세가 점쳐졌지만 이에 취한 것인지 선거전부터 "유신회는 지역정당에 불과하므로 중앙정치를 하는 나로선 안중에도 없다"라며 유신회를 무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구설수에 올랐다가, 선거 후반으로 갈수록 접전 분위기가 되자 "유신회가 너무 강하다"라며 약자 코스프레를 하는 등 선거 기간 내내 말그래도 온갖 어그로를 끌었던지라 선거 결과가 나오자 '쌤통이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 #

결국 쓰지모토로서는 본인의 오만에 더해 세대 교체 바람에 휩쓸려 제대로 심판당하면서 왕년의 아베 저격수로서의 명성을 뒤로 하고 자신의 정치 행보에 대해 다시 고민해야할 시간이 왔다. 이후 마음을 다잡고 이듬해에 치러진 참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 때, 야마사키 타쿠 전 자민당 부총재가 쓰지모토 기요미를 응원하다가 당원권이 1년 정지되는 일이 있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유신회에서는 이케시타 다쿠 의원이 재출마할 예정이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참의원에 당선된 쓰지모토 기요미 전 의원 대신 2구가 지역구인 오쓰지 가나코 전 의원이 지역구를 옮겨 출마한다.

자유민주당에서도 다른 후보로 교체했다. 국토교통성에서 근무했으며 요시다 쇼인의 후손인 가노 요노스케가 새 지부장으로 선출됐다. 저번 선거에서는 15구에 출마했었으나, 무슨 이유에선지 지역구를 옮겼다.

[1] 신진당은 빅 텐트 정당이며 민주당으로 넘어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논외로 친다.[2] , 추천[3] 추천[4] ,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그린스 재팬 추천[10] 추천